반응형

전체 글 11588

신부의기도 - [신부의노래2]

신부의기도 - [신부의노래2] ◎ ‘신부의 노래 2’ 소개 ◎ ‘신부의 노래 2’ 기획의도 -주님 오실 날이 머지 않은 이 마지막 시대는 우리 주 예수님의 이름이 세상뿐만 아니라 교회 가운데에서도 그 이름에 합당한 영광과 존귀함을 받지 못하는 시대입니다.신부의 노래 두 번째 앨범은 이러한 상황을 마음 아프게 생각하여 주님의 존귀하신 이름을 높이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습니다.-또한 신부의 노래 두 번째는 생명을 바쳐 교회를 사랑하신 주님께 교회 또한 그 분의 사랑과 은혜에 보답하기 위해 주님께 온전히 드리는 주님을 향한 헌신을 촉구하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신부의 노래 두 번째는 예배자의 마음이 주님을 향한 사랑으로 부풀어 오르기를 원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신부의 노래 두 번째는 주님의 신부 될 ..

성도의 기도와 찬양 (부제:마라나타) - [신부의노래2]

신부의 노래 2 - 내 삶을 깨뜨립니다 with 김민영 -마라나타 ◎ ‘신부의 노래 2’ 소개+ Prolog신부의 노래는 세상을 뒤로하고 전심으로 주님만을 향한 노래이고,아무것도 고려하지 않고 완전히 주님께 드리는 노래이며,정결함과 거룩함으로 곧 오실 주님을 기다리는 노래입니다. 주님의 아름다운 신부인 교회여. 곧 우리 모두 주님을 볼 것입니다! + 소개 ‘신부의 노래’의 큰 목적은 다시 오시어 우리의 신랑 되실 주님을 기다리며 마음을 담아 주님께 부르는 신부 될 교회의 노래입니다.‘신부의 노래’, ‘소원(one thing)’, ‘끝까지 사랑하시니라’ 등의 노래가 수록 되었던 1집이 주님을 향한 사랑의 노래였다면 이번 2집은 주님을 향한 헌신의 노래요, 주님의 고귀하신 이름을 높이는 찬양의 노래입니다. ..

[겨자씨] 믿음으로 이루어낸 기적

우리 대한민국은 정치역사상 가장 큰 개혁을 이룬 나라다. ‘모성의 힘’을 보일 여성대통령이 탄생했기 때문이다. 국민대통합이란 약속과 국민 50% 이상의 믿음으로 이루어낸 결과이다. ‘머니볼 이론’이라는 말이 있다. 이 말은 영화 ‘머니볼’에서 시작된 말인데 “경기 자료를 철저히 분석해 선수를 적지적소에 배치해서 승률을 높인다는 게임이론”이다. 이 영화에서 단장은 고정관념을 버렸다. 스펙이 화려한 우수한 선수보다 잠재력이 있는 참신한 선수들을 선발해 그들을 끝까지 믿어주는 데서 선수들은 메이저 역사상 기적을 이끌어냈다. 누군가가 자기를 믿어줄 때 사람은 그를 위해 생명도 거는 것이다. 가정에서도 자식을 믿어주는 부모가 돼야 그 자식이 실망을 시키지 않는다. 우리의 신앙도 마찬가지이다. 믿음이 기적을 이루게..

[겨자씨] 영화의 면류관

한 소년이 신실한 기독교 가정에서 태어났다. 부모를 따라 열심히 교회에 출석하며 신앙을 키웠다. 그러나 청년기에 교회를 떠나 세상 속으로 빠져 들었다. 그는 유명한 작가가 돼 많은 작품을 남겼다. 하나님을 버린 대신 세상의 모든 것을 얻은 듯했다. 그는 성공의 아이콘이었다. 1961년 7월 2일 세상을 떠들썩하게 만든 한 사건이 발생했다. 가장 성공한 사람으로 칭송받던 바로 그 사람이 참혹한 시체로 발견된 것이다. 그는 자신의 몸을 엽총으로 쏴 자살했다. 유서에는 다음과 같은 글이 적혀 있었다. “나는 방전된 건전지와 같은 존재다. 전원을 찾지 못한 고장 난 코드다. 인생의 공허와 고독을 달랠 길이 없구나.” 우리에게 너무나 잘 알려진 세계적인 작가 헤밍웨이의 비극적인 마지막 모습이다. 세상의 것을 좋아..

<TV의 진화가 낳은 TV중독> - 아이와 함께하는 큐티 나눔

오늘의 말씀수고하고 무거운 짐 진 자들아 다 내게로 오라 내가 너희를 쉬게 하리라 (마 11:28) 오늘의 읽을거리첨단 멀티미디어 세상이 도래하면서 이제는 텔레비전까지도 디지털로 진화하기에 이르렀습니다. 이제 대한민국의 모든 방송이 디지털화 되면서 디지털 TV로 바꾸기 위한 사람들의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는데요.텔레비전이 진화하면서, 이제는 굳이 녹화해두지 않아도 시간을 놓쳤다고 해도 내가 원하는 방송을 원하는 시간에 시청할 수 있는 VOD 서비스가 넘쳐나고 있습니다. 그래서 텔레비전을 통해 완결 드라마 정주행(1편부터 마지막편까지 모두 시청하는 것) 한다거나, 지나간 프로그램을 뒤적이는 것으로 휴일을 보내는 사람들 또한 점점 늘어나고 있지요.단순한 취미생활로 보이는 TV시청도 미디어중독으로 이어질 가능성..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