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축복의통로 11586

도우시는 하나님.

너희 염려를 다 주께 맡기라 이는 그가 너희를 돌보심이라 (벧전5:7) 새롭게 한해 많은 계획들과 많은 생각을 하게 됩니다. 그리고 많은 두려움도 옵니다. 그럼에도 선하신 하나님을 신뢰하길 원합니다. 때를 따라 도우시는 하나님. 선하신 하나님을 오늘도 바라보길 원합니다. 축복합니다. ^^ 이 글에 공감하시면 아래 손가락 또는 view on 아이콘 표시를 눌러 주세요. ^^

[겨자씨] 진정한 힐링

요즈음 많은 사람이 쓰는 용어 가운데 이슈가 되는 것이 ‘힐링’이라는 말이다. 몸도 마음도 치유 받고자 하는 간절함이 있기 때문이다. 현대인들은 과거처럼 배고파서 죽는 사람보다 마음의 병으로 자살하는 사람이 더 많다. 이제 자살은 우리나라의 사회문제로 대두되면서 인성교육 부재를 뼈저리게 느끼는 시대가 되었다. 지식은 가르쳤지만 상식은 가르치지 않은 입시 위주의 교육이 가슴을 치게 하는 것이다. 언제부터인가 우리나라는 ‘웰빙’ 바람이 불면서 저마다 건강을 생각한 나머지 오가닉(유기농)을 선호하게 되었다. 농약을 치지 않은 건강한 식품을 먹기 위해서다. 그런데 요즈음은 오가닉에서 2% 부족한 것을 채우고자 자연 그대로인 로가닉을 찾는 시대가 되었다. 화장품도 천연 그대로의 로가닉 화장품을 선호하는가 하면 여..

[겨자씨] 경제 권리장전

선거공약인 기초노령연금을 놓고 각계의 의견이 분분합니다. 65세 이상에게 매월 20만원씩 연금을 지불한다는 것인데 결국 국민연금 제도의 개편이 불가피하고, 이로 인한 근로자들의 세금부담은 당연히 높아질 것입니다. 과연 무엇이 정의입니까. 노인을 잘 모셔야 한다는 측면에서는 노령연금 실시가 정의지만 ‘부자 노인’을 고려하지 않은 점에서는 노령연금 수정이 정의입니다. 마이클 샌델이 ‘정의란 무엇인가’에서 언급한 상반된 두 정의의 충돌을 여기서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미국 루스벨트 대통령은 1944년 사회의 약자들을 위한 복지정책을 발표하면서 이렇게 말합니다. “사회복지를 위한 기금은 세금으로 얻어지는 수입보다 기부금으로 충당되어야 한다.” 루스벨트의 이 선언을 ‘경제 권리장전’이라 부릅니다. 우리나라는 기부..

하나님께서 나에게만 주시는 일방적인 사랑

오늘 하루를 어떻게 지냈나 생각해 보니, 참 많은 사랑을 하나님께서 주심을 고백해봅니다. 그런데 너무 많은 시간들을 하나님께서 나에게만 주시는 일방적인 사랑이 아니었나 생각해봅니다. 나도 그만큼 하나님을 사랑했는지, 사랑하려고 했는지 돌이켜 보면서, 오늘부터는 아주 작은 것에도 감사하며 "사랑해요 하나님♥" 고백해 보시는 건 어떨까요?^^ 이 글에 공감하시면 아래 손가락 또는 view on 아이콘 표시를 눌러 주세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