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러움과 녹을 녹여 내는 징계의 심판(에스겔 24:1~14) - 김승수 목사(QT)
[생명의 삶 큐티] 더러움과 녹을 녹여 내는 징계의 심판 | 에스겔 24:1~14 | 김승수 목사 | 250830 QT
1. 끓는 가마의 비유(24:1-14)
본 단락은 예루살렘의 멸망을 끓는 가마의 비유로 묘사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비관
적인 내용은 예루살렘의 백성들에게 현재 그들이 처하고 있는 상황을 분명히 자각시킴
으로써 문제의 본질에 접근하도록 유도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내용을 기술하고 있는
본 단락은 (1) 비유의 동기를 밝히는 전반부(1-5절), (2) 비유에 대한 해석을 밝히고
있는 후반부(6-14절) 드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본 단락에서는 이전의 내용들과는 달리 시대적 배경에 대해서 비교적 자세히
기술하고 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에 대한 언급은 이스라엘 역사 속에서 중요한 의미
를 갖는 시기였음을 밝히기 위한 의도가 암시적으로 깔려 있다. 여기에 언급된 날짜는
여호야긴이 사로잡혀간지(1:2) '제 구 년 시 월 십 일'로서, 느부갓네살이 예루살렘
성을 완전히 바벧론에 의하여 망하기 직전의 시대적 상황을 배경으로 한 비유라고 볼
수 있다.
또한, 본 단락은 본서의 전체적인 내용이나 구조에 있어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단락이기도 하다. 이제까지 본서의 저자인 에스겔은 예루살렘과 유다의 임박한 심판에
대하여 다양하게 선언하였다. 그는 임박한 심판에 반대하는 각 주장들에 대하여 매우
조직적으로 반박하여 왔다. 그러나 에스겔의 관심은 여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예루
살렘과 유다를 공격하고 그들을 조롱했던 이웃 국가들에 대한 심판 예언으로 확장되고
있다(25:1-33:20). 이러한 사실로 미루어 볼 때 본 단락은 예루살렘의 멸망과 이웃 국
가들에 대한 심판 선언을 연결하는 단락으로 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단락은 다음
부터 나오는 이방 국가들에 대한 심판 선언의 서론적 성격을 갖는 것이다.
이러한 특성을 보이고 있는 본 단락의 주된 내용상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비유의 동기(1-3절) : 저자는 비유의 동기를 밝힘에 있어서 당시의 역사적 배
경에 관심을 집중하고 있다. 지금 예루살렘이 처해 있는 환경이 바벧론에게 집중적으
로 포위당하고 있는 상황임을 감안할 때, 선지자의 비유의 동기는 예루살렘의 상황을
극적으로 묘사하기 위한 의도라고 볼 수 있다. 그는 유다 멸망을 극적으로 드러냄으로
써 백성들의 경각심을 부러일으키려로 하는 것이다.
(2) 비유의 내용(4,5절) : 비유의 소재는 가마, 양의 살과 뼈, 불 등이다. 이러한
소재들은 예루살렘에 임할 심판의 강도와 임박성을 효과적으로 묘사해준다. 마치 가마
솥에 있는 고기와 뼈처럼 예루살렘의 지도자들과 백성들은 비참한 최후를 맛보게 된다
(20:47;21:31).
(3) 비유의 해석(6-14절) : 하나님은 포위된 예루살렘 성을 끓는 가마에 비유하였
으며, 예루살렘 백성은 그 안의 고기와 뼈에 비유하였다(3절). 또한 가마 속의 내용물
인 '양떼에서 고른 것'과 '모든 좋은 덩이'와 '고른 뼈'는 이스라엘의 왕과 왕족 그리
고 재능있는 자를 가리킨다(4,5절);11:3,11삼상 2:13-17). 그리고 가마를 끓이는 불은
바벧론 군대의 강력한 포위 공격을 의미하고, '뼈가 무르도록 삶을지어다'라는 표현(5
절)은 예루살렘의 중요 인물들이 적의 공격으로 죽게 됨을 묘사한다. 또한, '녹슨 가
마'는 예루살렘 백성들이 죄로 인해 더렵혀진 상태를 말한다(6절). 하나님은 바로 예
루사렘의 죄 때문에(7,8절) 백성들을 철저히 살육하시고 모든 죄악이 근절되도록 형벌
을 내리신다(22:15;사 30;33).
출처: https://nocr.net/com_kor_hochma/141182